OSI 7계층
OSI 7계층은 국제 표준화 기구(ISO)에서 정의한 네트워크 표준 모델로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것
1계층 : 물리계층
전기적, 기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며, 별 다른 동작없이 데이터 전달의 역할을 수행
장비 : 케이블, 리피터, 허브
2계층 : 데이터 링크 계층
물리적인 연결을 통하여 인접한 두 장치 간의 신뢰성 있는 정보 전송을 담당, Frame 단위로 전송,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정된 정보를 전달. MAC 주소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
장비 : 스위치(L2), 브릿지
3계층 : 네트워크 계층
전송단위 : 패킷, 패킷을 목적지까지 경로 설정,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'라우팅'이라고 함.
장비 : 라우터, 스위치(L3)
4계층 : 전송 계층
종단 간에 신뢰성 있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담당. 전송단위는 세그먼트이며, 종단 간의 에러복구와 흐름 제어 담당
5계층 : 세션 계층
통신 장치 간 상호작용 및 동기화 제공, 연결 세션에서 데이터 교환과 에러 발생시의 복구를 관리
6계층 : 표현 계층
데이터 표현에 차이가 있는 응용 처리에서의 제어 구조를 제공, 전송하는 데이터의 인코딩, 디코딩, 암호화, 코드 변환 등을 수행
7계층 : 응용 계층
인터페이스 역할, 응용 프로세스 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. ex) 카카오톡, 디스코드
TCP : 연결, 신뢰성, 속도가 느림 => 웹, 파일, 이메일
UDP : 비연결, 신뢰성 x, 속도가 빠름 =>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, 전화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트워크 패킷 분석 - msnms.pcap (0) | 2023.05.08 |
---|